카테고리 없음 / / 2023. 3. 10. 14:32

청년도약계좌 최신정보 완벽정리

반응형

2023년 6월 시행예정인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70만 원까지 납부 가능하며, 5년 납입으로 최대 5000만 원 목돈마련할 수 있는 정부지원 적금 상품입니다. 납입금액에 따른 정부기여금비과세 혜택까지 주어지기 때문에 적금으로 목돈 마련하고자 하신다면 꼭 가입하셔야 하는데요~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고자 마련한 상품인 만큼, 가입조건이 정해져 있습니다. 상품 내용, 혜택, 가입조건 모두 정리해 두었으니 내용 보시고 목돈 마련하는데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

 

🍳잠깐!

정부에서 3월 8일 발표된 청년도약계좌 주요 Q&A에 여러분이 궁금하신 모든 부분 포함되어 있으니 바로 확인해 보세요~

청년도약계좌 주요 Q&A.pdf
0.39MB

 

 

청년도약계좌 상품 개요
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
1. [납입한도]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습니다

✔ 단 정부기여금 혜택을 위해선 월 40만 원 이상 납입이 필요합니다.

 

2. [금리구조]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, 이후 2년은 변동금리 적용됩니다

✔ 변동금리의 경우 해당시점의 기준금리 +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금리 적용됩니다.

✔3년 초과 고정금리 상품도 출시할 수 있도록 협의 예정입니다

✔ 저소득층 청년의 경우 우대금리 적용되도록 협의 예정입니다.>

 

3. [만기] 적금만기는 5년입니다

✔ 만기 수령액은 본인납입금 + 이자 + 정부기여금 합산된 금액으로 지급됩니다.

 

4. [중도해지]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해당된다면 정부기여금, 비과세 혜택 유지됩니다.

✔ 가입자의 사망, 해외이주, 퇴직, 사업자의 폐업, 천재지변,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, 생애최초 주택구입
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
 

 

청년도약계좌 혜택

1. 정부기여금

✔개인소득 수준,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

💨개인소득이 낮을수록, 납입 금액이 클수록 많은 지원이 이루어집니다

✔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.

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
 

2. 이자 비과세

✔ 통상 이자에 부과되는 15.4%의 세금이 비과세 처리됩니다.
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

1. [연령] 만 19~34세 청년이 해당됩니다

✔ 2023년 6월 신청 기준 1989년 생부터 2004년 생까지 가능합니다.

✔병역 이행한 경우, 이행 기간은 연령 계산에 넣지 않으며 최대 6년까지 인정 가능합니다.

 

2. [개인소득] 연 7500만 원 이하의 경우 가입가능합니다

✔ 연소득 6천만 원 이하: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

✔ 연소득 6천만 원 초과, 7500만 원 이하: 정부기여금 없이, 비과세 혜택만 주어집니다.

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(금융소득의 합이 2000만 원 초과)인 경우 가입 불가합니다.

 

3. [가구 소득] 중위소득의 180% 이하여야 합니다

✔ 가구원은 가입 당시 기준으로 확정합니다.

✔ 개인/가구 소득 모두 직전 과세기간 (2022년)의 소득이 확정되기 전까지는 전전년도 (2021년) 과세기간 소득 기준으로 가입 가능여부 판단합니다.

   💨직전 과세기간 소득은 당해 7~8월경 확정

✔ 가구 소득 중위 180%는 가구원 수에 따라 다음과 같습니다.

가구원 수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
월 소득 374만 205원 622만 1,079원 798만 2,668원 972만 1,735원

5인 가구 이상은 아래 표에서 확인하세요~!

청년도약계좌

 

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
 

청년희망적금 등 정부 지원상품 중복 가능 여부

1. 청년희망적금에 가입되어 있다면 청년도약계좌 중복 가입은 불가능합니다

✔ 다만, 청년희망적금 만기 혹은 중도해지 이후,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가능합니다.

💰 은행별 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이율 확인하기

KB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
NH농협 IBK기업은행 우리은행

✔ 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시 저축장려금과 비과세 혜택은 받을 수 없습니다.

 

2. 저소득층 청년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 등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은 동시가입 가능합니다

✔ 청년내일저축계좌, 청년 (재직자) 내일채움공제, 복지 목적의 지자체 상품 등
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
 

청년도약계좌 가입, 준비서류, 유지 심사

1. 2023년 6월부터 취급기관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가입 신청합니다

✔ 12월까지 매월 2주간 가입신청 가능하며, 2~3주 내로 결과통보합니다

✔ 가구원 관계단절 등의 일부 예외사례는 대면신청 가능합니다.

✔ 별도서류 없이 비대면 본인인증, 소득확인 등을 통해 가입 가능하도록 추진 예정입니다.

✔ 단, 만 34세 초과자의 군경력 인증서류, 이의신청자 등의 경우 추가서류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 

3. 가입일로부터 1년 주기로 유지심사 시행합니다

✔ 개인소득을 현행화하여 기여금 지급여부와 규모 조정합니다

✔ 유지심사에서 개인소득 6000만 원 초과 시 다음 유지심사 시까지 정부기여금 지급이 중단됩니다.

✔ 가구원 변동 (이혼, 독립, 사망 등)으로 인한 예기치 못한 불이익 방지를 위해 가구소득 변동은 미반영합니다.

✔ 비과세 혜택은 만기가지 유지됩니다.
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
 

청년도약계좌 관련 문의처

서민진흥원콜센터: 1397
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청년도약계좌
청년도약계좌
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